스프링

스프링 1-2. REST Client 시작

호놀롤루 2022. 3. 15. 14:37

1. 개요

인텔리제이에서 New Project 클릭하고, Spring Initializr 선택해서 원하는 대로 설정하면 된다.

필자는 Java, Gradle, Jar 패키징, Java버전 11로 설정했다. 다음 화면에서 Web에서 Spring Web을 선택하면

된다.

 

2. 사용법

우선 Spring은 기본적으로 tomcat 8080 포트를 사용한다. 다른 어플에서 8080포트를 사용하고 있다면

resource/main/resources 파일에 들어가서 port 라고 치고 기다리면 server.port가 뜬다. 여기서 설정을

다른 포트로 바꾸면 바꾼 포트로 열린다.

 

스프링에서 요청을 받는 부분을 controller 라고 한다.

실행 파일의 상위 폴더인 com.example.프로젝트이름 폴더 하위에 controller 패키지를 만들고, ApiController

라는 class파일을 만들어준다.

@RestController // 해당 Class는 REST API를 처리하는 Controller
@RequestMapping("/api") // RequestMapping은 URL 을 지정해주는 Annotation
public class ApiController {

    @GetMapping("/hello") // http://localhost:8080/hello
    public String hello() {
        return "hello spring boot!";
    }
}

스프링 부트에선 대부분의 작업을 어노테이션으로 처리한다.

위의 코드처럼 GetMapping("경로") 를 설정해주면, get방식으로 저 url에 접근했을 경우, return값이

반환된다.

 

메인 파일을 실행하고

http://localhost:8080/api/hello

로 들어가면 hello spring boot! 가 나올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