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기초문법

영어 기초문법 1. 문장형식, 품사 정리

호놀롤루 2022. 4. 2. 23:58

1. 개요

영어의 문법중 기본 중의 기본인 문장형식, 품사의 의미와 사용법을 간단히 정리해보려 한다.

 

2. 정리

2-1. 문장형식 정리

문장형식이란 문장을 구성하는 5가지의 구성요소이다.

"나는 밥을 먹는다" 라는 말에서 "나" 는 주어, "밥"은 목적어, "먹는다" 는 동사가 된다.

 

주어 : 행동을 하는 주체, (은, 는, 이, 가)를 사용하는 단어

 

동사 : 행동이나 상태, (run, eat, talk) 등의 행동, (be, love, hate) 등의 상태가 있다.

 

목적어 : 동사의 대상이 되는 단어, (~을, 를)을 사용하는 단어, i like juice 라고 하면 좋아하는 대상인 
            juice가 목적어가 된다.

 

보어 : 설명을 도와주는 말, 2가지 종류가 있다.

       주격 보어 : i am student 라는 문장이 있다면, 나는 ~이다 라고 할 때, 주어의 설명을 도와주는
                       student 가 보어가 된다. 즉 주어를 보충설명 해주는 것이다.

       목적격 보어 : the cake made me happy 라는 문장이 있다면, 주어 (the cake), 동사 (made), 
                           목적어 (me) 인데, happy가 수식하는 것은 목적어인 me이다. 즉 목적어를

                           보충설명하는 것이다.

 

수식어 :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를 꾸며주는 단어다. 꼭 있어야 하는 건 아니고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된다.

주어를 수식하는 경우, the man in the park is kim 라는 문장에서, 주어 (the man), 동사 (is), 목적어(kim)

이다. 이 경우, 주어인 the man을 수식한 in the park 가 수식어가 된다. 이런 경우, 전치사 + 명사 의 형태가 된다

 동사를 수식하는 경우, he eats fast 라는 문장에서, 주어 (he), 동사 (eats) 가 된다. fast 라는 수식어는 동사인

eats를 수식하는 것이다. 이런 경우, 부사의 형태가 된다.

 목적어를 수식하는 경우, i have a new phone 이라는 문장에서, 주어 (i), 동사 (have), 목적어 (phone) 이 된다.

a new 라는 수식어는 목적어인 phone을 수식하고 있다. 이런 경우, 형용사의 형태가 된다.

 

정리하면

주어 : 문장의 주체

동사 : 주어의 행동, 상태

목적어 : 동사의 대상

보어 : 보충 설명, 설명하는 대상이 주어면 주격 보어, 목적어면 목적격 보어

수식어 : 주어, 동사, 목적어 등을 수식하는(꾸며주는) 단어

가 된다.

 

2-2. 문장 형식

영어에서 사용되는 5가지 형식이 있다. 모든 문장은 문장 구조 5가지로 구성된 형태로만 사용할 수 있다.

 

1형식 : 주어 + 동사, i go 라는 문장은, 난(주어) 간다(동사)의 형태이다.

 

 

2형식 : 주어 + 동사 + 보어 : i am a salary man, 해석하면 i(주어) am(동사) a salary man(전체가 보어)

is he a nice?, 해석하면 is(동사), he(주어), a nice(보어), 위 문장과 다른 점은 보어의 종류가 명사구, 형용사구

로 나뉘기 때문이다.

 

 

my sun is very cute boy, cute boy는 boy라는 명사를 수식하니 명사구이다.

my hobby is taking a picture, taking을 동사로 생각할 수 있지만, ing 형태로 형용사가 된 동명사다.

여기선 형용사인 taking을 picture이 수식하고 있으니 형용사구다.

 

 

3형식 : 주어 + 동사 + 목적어 : ~는 ~를 ~한다 의 형태이다.

그리고 목적어는 한 단어만 오지 않는 경우도 있다. "난 니가 어제 새벽 3시경, 편의점에서 뭘 샀는지 알고 있다"

라는 문장에서 "니가 어제 새벽 3시경, 편의점에서 뭘 샀는지" 까지가 목적어다.

 

간단한 예시로 i meet friend, i(주어) meet(동사) friend(목적어) 의 형태가 된다.

 

 

4형식 : 주어 + 동사 + 간접목적어 + 직접목적어 :" ~가 ~에게 ~을(를) ~해준다" 의 형태다.

간접 목적어는 거의 사람이 대상이고 목적격 조사, ~에게 를 붙이면 된다.

직접 목적어는 사물 등이 대상이고 목적격 조사, ~을(를)을 붙여주면 된다.

 

그리고 4형식 동사에는 수여동사가 사용된다.

그리고 여기서 신경써야 할 점은 모든 문장 형식은 1형식 (주어 + 동사)을 기본으로 확장된 것이다.

주어 + 동사 만으로 최소한의 의미전달이 가능하지만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확장된 것이라 보면 된다.

 

수여동사란 ~해주는 의미를 가진 동사다. 이 수여동사를 4형식에 맞게 사용하면 된다.

난 그에게 돈을 좀 빌려줬다

i lent him some money, i(주어) lent(동사) him(간접 목적어) some money(직접 목적어)

 

그 배우는 우리에게 최고의 연기를 보여줬다

the actor showed us his best performance, the actor(주어) showed(동사) us(간접 목적어)

his best performance(직접 목적어)

 

 

5형식 : 주어 + 동사 + 목적어 + 전치사구 : ~는 ~를 ~에게 ~해준다

전치사란 말 그대로, 앞에 놔두는 부사를 말한다. 방향을 나타내는 to, for, 위치를 나타내는 in, at, on, under, 

그 외에도 of, by, with, about 등 이다.

 

그가 이 선물을 나에게 주었다.

he gave this gift for me, he(주어) gave(동사) this gift(목적어) for me(전치사구)

4형식으로 표현하면 he gave me this gift, he(주어) gave(동사) me(간목) this gift(직목)

 

그는 나에게 그의 진심을 보여줬다.

he showed his truth to me, he(주어) showed(동사) his truth(목적어) to me(전치사구)

 

그 식당은 맛있는 음식을 손님들에게 제공한다.

the restaurant offers good foods for customers, the restaurant(주어) offers(동사) good foods(목적어)

for customers(전치사구)

 

정리

1형식 : 주어 + 동사, ~는 ~한다

2형식 : 주어 + 동사 + 보어, ~는 ~다

3형식 : 주어 + 동사 + 목적어, ~는 ~를 ~한다

4형식 : 주어 + 동사 + 간접 목적어 + 직접 목적어, ~가 ~에게 ~를 ~해준다

5형식 : 주어 + 동사 + 목적어 + 전치사구, ~는 ~를 ~에게 ~해준다

 

 

2-3. 품사 정리

품사란 단어를 문법적 기능, 형태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 명사(Noun) : 사람, 사물, 장소, 특징을 나타내는 것, apple 등
  • 대명사(Pronoun) : 명사를 대신하는 것, he, she, it 등
  • 형용사(Adjective) : 명사를 수식하는 것, pretty, happy 등
  • 동사(Verb) : 사물이나 사물의 동작 또는 행동을 나타내는 것, run, sleep 등
  • 부사(Adverb) : 동사에 상세한 설명을 더한 것, kindly, quickly 등
  • 전치사(Preposition) : 명사 앞에 나오는 것, 명사와 결합하여 구를 만들어 형용사나
    부사로 사용되기도 함, on, at, in 등
  • 접속사(Conjunction) : 단어와 단어, 문장과 문장을 연결해주어 절을 이끼는 것, and, but 등
  • 감탄사(Interjection) : 감정을 나타내는 단어, wow 등

문장형식의 관점에서 봤을 때, 사용할 수 있는 품사는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 수식어
명사 동사 명사 명사 부사
대명사   대명사 대명사  
      형용사  

이렇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