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30 네트워크 정리 9. 네트워크 계층의 혼잡(Congestion), 혼잡 제어(Congestion Control) 정리 1. 개요 네트워크 계층의 혼잡이란 네트워크에서 처리 가능한 양을 넘어선 통신이 이루어지며, 서버가 다운되거나 제대로 전송이 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혼잡 제어란 혼잡이 발생하기 전에 그것을 방지하거나 혼잡이 발생한 후, 그것을 없애주는 기술을 말한다. 2. 설명 2-1. 종류 혼잡 제어 기술에는 Open Look, Closed Look 2가지 종류가 있다. Open Look은 혼잡이 일어나기 전에 방지하는 기술 Closed Lokk은 혼잡이 일어난 경우,해결하는 방법이다. 2-2. Open Look 혼잡 제어 방식 여러 종류의 방법이 있지만 하나씩 알아보면 재전송 정책 (Retransmission Policy) 송신자가 송신한 패킷이 손실되거나 훼손된 것을 인식한 경우, 패킷 재전송은 불가피하다. 일.. 2022. 4. 12. 네트워크 정리 8. 네트워크 계층 성능 (지연, 처리량, 패킷 손실) 1. 개요 네트워크 계층을 사용하는 상위 계층 프로토콜은 이상적인 서비스를 원하지만 네트워크 계층은 항상 완벽하지 않다. 네트워크의 성능은 지연, 처리량, 패킷 손신률로 측정 가능하고, 어떤 것인지 알아볼 것이다. 2. 설명 2-1. 지연(Delay) 설명 지연은 말 그대로 전송이 지연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 지연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먼저 종류부터 정리하자면 전송 지연(Transmission Delay) 전파 지연 (Propagation Delay) 처리 지연 (Processing Delay) 큐 내부의 지연 (Queuing Delay) 전체 지연 (Total Delay) 하나씩 정리해보면 전송 지연 (Transmission Delay) 발신지 호스트나 라우터는 패킷을 즉시 보낼 수 없다. 송신.. 2022. 4. 12. 네트워크 정리 7. 패킷 교환 (Packet Switching) 1. 개요 이전 포스팅에서 라우팅과 포워딩 과정에서 네트워크 계층에서 패킷을 전달하는 걸 확인했다. 다시 한 번 간단하게 정리하면, 라우팅과 포워딩을 관리하는 라우터는 장거리 통신을 할 시, 중간 경유지가 된다. 그 경유지에서, 입력포트(입구)와 출력포트(출구) 사이의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교환기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네트워크에서 패킷이 교환되는 방법은 데이터그램, 가상 회선 방식 2가지가 있다. 2. 설명 2-1. 데이터그램 방식(Datagram Approach) : 비연결형 서비스 (Connectionless Service) 네트워크 계층의 간소화를 위해 모든 패킷을 독립적으로 처리 메세지의 패킷들은 목적지까지 같은 경로나 다른 경로로 전달 이전 포스팅에서 메세지가 세그먼트 단위에서, 패킷 단위로.. 2022. 4. 12. 네트워크 정리 6. 네트워크 계층 서비스 (오류제어, 흐름제어, 혼잡제어, QoS, 보안) 1. 개요 네트워크 계층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인 오류제어, 흐름제어, 혼잡제어, QoS, 보안을 정리해보려 한다. 2. 설명 2-1. 오류 제어 (Error Control) 말 그대로 오류제어다. 그런데 중요한 오류제어는 전송 계층에서 하고 네트워크 계층에선 간단하게 한다. 네트워크 계층에서 구현될 수 있지만 인터넷 네트워크 계층을 설정할 때 네트워크 계층이 전달하는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오류 제어를 고려하지 않는다. 이는 각 라우터에서 패킷이 단편화될 때마다 네트워크 계층에서 오류를 검사하는 것이 비효율적이라 여겨진다. 네트워크 계층을 설계할 때 전체 데이터그램이 아닌 헤더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검사합(CheckSum) 필드 추가 이 검사합(CheckSum)은 두 홉간(Hop to Hop 사이), 단.. 2022. 4. 12. 이전 1 2 3 4 5 6 7 8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