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네트워크 계층을 사용하는 상위 계층 프로토콜은 이상적인 서비스를 원하지만 네트워크 계층은 항상
완벽하지 않다.
네트워크의 성능은 지연, 처리량, 패킷 손신률로 측정 가능하고, 어떤 것인지 알아볼 것이다.
2. 설명
2-1. 지연(Delay) 설명
지연은 말 그대로 전송이 지연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 지연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먼저 종류부터 정리하자면
- 전송 지연(Transmission Delay)
- 전파 지연 (Propagation Delay)
- 처리 지연 (Processing Delay)
- 큐 내부의 지연 (Queuing Delay)
- 전체 지연 (Total Delay)
하나씩 정리해보면
전송 지연 (Transmission Delay)
- 발신지 호스트나 라우터는 패킷을 즉시 보낼 수 없다.
- 송신자는 전송해야 할 패킷에 하나하나 비트 정보들을 추가한다.
- Delay(tr) = (패킷 길이 Packet Length) / (전송 비율 Transmission Rate)
전파 지연 (Propagation Delay)
- 전송 매체를 통해 A지점에서 B지점까지 1비트가 전달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 Delay(pg) = (거리 Distance) / (전파 속도 Propagation Speed)
처리 지연 (Processing Delay)
- 라우터나 목적지 호스트가 입력 포트로 패킷을 받고, 헤더를 제거하고, 오류 탐지를 수행한 뒤,
출력 포트로 패킷을 보내거나 상위 계층 프로토콜로 패킷을 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 - Delay(pr) = 라우터 혹은 목적지 호스트의 패킷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필수 시간 (Time required to
process a packet in a router or a destination host)
큐 내부의 지연 (Queuing Delay)
- 일반적으로 큐 내부의 지연은 라우터에서 발생
- 라우터는 각 입력 포트에 처리할 패킷을 보관할 큐와, 출력 포트에 전송할 패킷을 보관할 큐를
각각 보유하고 있다. - 큐 내부의 지연은 라우터의 입력 큐와 출력 큐에서 패킷이 대기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 Delay(qu) = 라우터 안에 있는 입력, 출력 큐의 대기시간
(The time a packet waits in input and output queues in a router)
전체 지연 (Total Delay)
- 전체 경로상의 라우터 개수 N을 알고, 송신자, 라우터, 수신측의 각각 지연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할 때,
패킷에 발생할 전체 지연은 아래와 같다.
Total Delay = (N+1)(Delay(tr) + Delay(pg) + Delay(pr)) + (N)(Delay(qu) - 여기서 N개의 라우터가 있다면 (N+1)개의 링크가 존재한다.
- N개의 라우터와 발신지와 관련하여 (N+1)개의 전송 지연이 발생하고, (N+1)개의 링크와 관련하여
(N+1)개의 전파 지연이 발생하며, N개의 라우터와 목적지와 연관하여 (N+1)개의 처리 지연이 발생한다. - N개의 라우터에서 N개의 큐 내부의 지연이 발생한다.
2-2. 처리량(Throughput)
- 한 지점을 지나는 초당 비트의 수로 정의되는 것으로 해당 지점의 실질적인 전송률
- 발신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에서 패킷은 서로 다른 전송률을 가진 다수의 링크(네트워크)를
통과할 수 있다. - 처리량은 가장 작은 전송률에서 결정된다. (다른 곳에서 아무리 전송률이 높아봐야 중간에 전송률이
낮은 곳이 있다면 거기서 막혀서 처리도 못한다.)
2-3. 패킷 손실(Packet Loss)
- 통신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며, 전송 중 손실되는 패킷의 수를 말한다.
- 라우터가 다른 패킷을 처리하는 동안 수신되는 패킷은 자신의 차례가 될 때까지 입력 버퍼에서
대기해야 한다. - 라우터는 한정된 버퍼를 가지고 있다.
- 버퍼가 가득 찰 경우, 패킷을 수신하지 못하고 폐기하게 된다.
- 패킷 손실이 발생하면 해당 패킷을 재전송하게 되므로, 더 많은 오버플로우와 패킷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정리 10. 라우터 구조 (0) | 2022.04.13 |
---|---|
네트워크 정리 9. 네트워크 계층의 혼잡(Congestion), 혼잡 제어(Congestion Control) 정리 (0) | 2022.04.12 |
네트워크 정리 7. 패킷 교환 (Packet Switching) (0) | 2022.04.12 |
네트워크 정리 6. 네트워크 계층 서비스 (오류제어, 흐름제어, 혼잡제어, QoS, 보안) (0) | 2022.04.12 |
네트워크 정리 5. 패킷화, 라우팅, 포워딩 정리 (0) | 2022.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