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NAT이란 네트워크 내의 사설 주소를 인터넷 (공용 네트워크)로 연결하기 위해, 범용 주소로 변환하는
기술을 말한다.
2. 설명
2-1.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 사설 주소와 범용 주소의 매핑(올바른 곳으로 매칭시켜주는 것)을 제공하고, 동시에 가상 사설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기술이다. - 한 곳에서 내부 통신을 위해 사설 주소를 사용하고, 외부의 다른 네트워크와의 통신에는 범용 주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2. 주소 변환 (Address Translation)
- NAT 라우터를 통해 나가는 모든 패킷은 발신지 주소(Source Address)를 범용 주소로 변환한다.
- NAT 라우터를 통해 들어오는 모든 패킷은 목적지 주소(Destination Address)를 보고, 변환 테이블을
참조해서, 적절한 사설 주소로 변환한다.
2-3. 변환 테이블 (Translation Table)
여러 종류가 있다.
사설 주소와 외부 주소 (패킷의 목적지 주소), 두 개의 열만 가지고 있는 테이블
사설 주소, 사설 포트, 범용 주소, 범용 포트, 변환 프로토콜 이렇게 5개의 열을 가진 테이블 등등
여러 종류의 변환 테이블이 있다.
그리고 NAT을 사용하는 이유는, 범용 주소를 통해, 패킷을 인터넷으로 보내기(포워딩) 위해서이다.
이 다음 포스팅에서 IP 패킷의 포워딩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정리 19. 레이블 기반의 포워딩, DHCP 개요 (0) | 2022.04.15 |
---|---|
네트워크 정리 18. 목적지 주소에 기반을 둔 포워딩 (Forwarding Based On Destination Address) (0) | 2022.04.14 |
네트워크 정리 16. 주소 집단화(Address Aggregation), 특수 블록, 블록 내의 특수 주소 정리 (0) | 2022.04.14 |
네트워크 정리 15. 클래스 없는 주소지정의 네트워크 주소, 블록 할당, 서브네팅 (0) | 2022.04.13 |
네트워크 정리 14. 클래스 없는 주소지정 (Classless Addressing) (0) | 2022.04.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