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네트워크 정리 19. 레이블 기반의 포워딩, DHCP 개요

by 호놀롤루 2022. 4. 15.

1. 개요

이전 포스팅에서 이어지는 내용이다. 포워딩이란 라우터로 들어온 패킷을 테이블을 참조해서 올바른

위치로 보내는 것을 말한다.

 

그 포워딩의 종류 중 하나인 레이블 기반의 포워딩과 DHCP에 대해서 정리해보려 한다.

 

미리 가볍게 설명하면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란
동적으로 IP 주소를 할당하는 프로토콜(통신규약)이다.

 

 

2. 설명

2-1. 레이블 기반의 포워딩 (Forwarding Based on Label)

  • 목적지 주소에 기반을 둔 포워딩의 경우, 라우팅 테이블이 길어지면, 찾는 시간이 너무 길어진다.

  •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패킷에 레이블(인덱스)을 붙여서, 레이블에 있는 번호의 테이블을
    찾아서, 효율적으로 포워딩하는 방법을 말한다.
  • 연결 지향 네트워크(가상회선)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 레이블에 있는 번호를 참조하니, 시간복잡도는 O(1), 뭐가 나오든 한 번에 찾을 수 있다.

 

2-2. MPLS (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 원래 패킷엔 IP 헤더와 IP 페이로드(내용물)이 들어있다. 거기다 MPLS 헤더를 추가로 붙여서,
    패킷이 다른 라우터로 나갈 때(출력), MPLS 헤더에 있는 레이블을 기반으로 포워딩한다.
    즉, 기존의 IP 헤더 정보를 기반으로 한 포워딩이 아닌, 레이블을 기반으로 포워딩하는 것이다.

  • MPLS 헤더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IPv4 패킷의 경우, 정해진 형태가 있기 때문에, 추가로 헤더를
    붙이지 못한다.
    그래서 IP헤더와 IP 페이로드를 MPLS 헤더라는 새로운 패킷으로 감싸서 보내는 것이다.
  • MPLS가 필요한 이유는, 인터넷의 빠른 성장과 관련이 있다.
    문자, 이메일 등은 1, 2초 지연이 있다고 해도 문제가 없지만, 생중계, 스트리밍 등의 서비스는
    지연에 민감하다.

  • 위와 같은 서비스를 지연하기 위해, MPLS로 라우터에서의 시간을 감소시키고,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을 관리한다.

 

2-3. DHCP

  • DHCP를 사용하기 전엔, 고정적인 IP주소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고정적인 IP주소의 경우, 현재
    사용하지 않는 기기에 IP주소가 독점되어, 주소 고갈이 가속화되거나, IP설정에 실수가 있으면
    인터넷의 기능을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P를 필요로 하는 기기에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게 하고,
    다 쓰면 반환하는 방식이 DHCP다.

  • 일반적으로 PC가 부팅되면, DHCP가 자신의 IP주소를 받아와서 인터넷에 연결한다.

댓글